[사진]학강산 학운산방 택지 토공작업 현장에서 어머니와 아버지
[사진]학강산 학운산방 택지 토공작업 현장에서 어머니와 아버지
[사진]아랫마을 비닐하우스 자리에 건축예정인 소구리 하우스 A형 조감도
[사진]솔고개마을 뒷 목재에 있는 유길순 효열각
솔고개 마을 지명은 뒷 목재 고개에 있는 큰 소나무에서 유래 되었다. 그 고개에는 두 그루의 소나무가 마주보고 있었는데 한 그루는 오래전에 고사했다. 효열각 맞은편에는 현재도 낙락장송 소나무가 듬직하게 버티고 있다. 그 소나무에 단오절에는 그네를 매고 마을 사람들의 잔치마당이 펼쳐진 장소이기도 하다. 그 소나무와 마주보고 증조할머님의 효열각이 있다. 요즘 기준으로 보면 말도 안 되는 행적이 될 수도 있겠지만 사랑의 힘과 의미를 후세에 말없이 들려주고 있다. 변화하는 시대의 조류에 밀려 그 의미가 날로 퇴색되어 가는 전국 각지의 효열각과 열녀각들이지만 이지만 그 속에는 우리들이 아직도 잊지 않고 따를 만한 인간에 대한 충분한 사랑의 힘의 깃들어 있고 선조들의 삶이 들려주는 인간에 대한 예의와 순수가 온전히 남아 있다.
비록 자식들 중에 세상에 이름을 떨친 출세는 없었어도 증조할머니의 지아비에 대한 사랑은 후세에 전해져도 부끄럽지 않은 사랑이다. 살아서 병든 지아비를 위한 정성스런 간호와 기도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인간의 예의이자 아름다움으로 남을 것이고, 사후에 지아비를 기리는 가슴과 정성은 먼저 떠난 사랑에 대한 간절한 작별인사가 아니겠는가? 솔고개 마을에서 바라보면 단양의 명산 금수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있다. 그 금수산 영봉 밑에 병든 지아비를 위한 3년 동안의 기도는 사랑의 약이 되어 되돌아 왔으며, 그 때 남긴 한 여인이 만든 사랑의 발걸음은 오솔길이 되었다. 그 오솔길은 흔적 없이 사라졌지만 그 길 위로 남긴 증조할머니의 인간에 대한 사랑의 가슴은 아직 사라지지 않고 효열각과 금수산의 추억 속에 마르지 않는 샘물이 되어 우리들의 가슴속에 옹달샘이 되어 있으리라 믿고 싶다.
학강산 학운산방 길을 가면서 그 효열각 담 넘어 에서 갈비를 쓸어 담는 어머이를 바라보며 어머니와 함께한 시간들이 떠올랐다. 갈비... 예전에는 불쏘시개로 갈비를 사용했다. 그 갈비는 나무들이 자라는 거름이 되는 자연의 순환 고리에 있어서 중요한 퇴비지만 70년대 중반 까지만 해도 시골에서 연료는 거의 잡목과 나무 부스러기였다. 그래서 나무를 하면서 갈비는 집집마다 부엌 광에 들어 있는 생활필수품이다. 그 갈비를 하지 못하게 면 산림계에서 단속 나오고 숨기고 하는 숨바꼭질을 하던 시절도 있었다. 단속에 걸리면 벌금도 물고, 산림계의 완장은 인민위원장의 권력보다는 작아도 권위주위의 상징처럼 서민의 가슴을 억누를 수 있는 완장의 마력이 있었던 시절도 있었다. 지금은 아무도 갈비를 하지도 나무를 하지도 않는 시절이지만 마대포대에 갈비를 담는 어머님 모습 저 뒤로 손자며느리를 따뜻한 눈길로 바라보시는 증조할머니가 계셨다. 적어도 어머니는 할머니와 증조할머니로부터 충분히 그런 미소를 받을 자격이 있는 우리시대의 서정을 간직한 며느리가 아닐까 생각된다. 우리 어머니라서가 아니라 이 시대의 여인으로, 이 시대의 농사꾼으로, 이 시대의 며느리로 참 좋은 삶을 살아온 사람으로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한 없이 드리고 싶다. 그래봤자 생각이지만 생각만이라도 증조할머니 효열각 소나무 아래에서 갈비를 쓸어 담는 어머니를 바라보며 한 마리 학과 같다는 담배 따러온 아낙네가 들려준 어머니에 대한 객관적 평가는 못난 아들이지만 당신의 아들로 태어나 이 땅에서 함께 숨 쉬고 있는 그 자체만으로도 행복한 사람이라고 독백이라도 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어찌 아니 말 할 수 있겠는가?
소구리 하우스에서 진^^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