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0평짜리 전원주택이다. 방3개에 방으로 전용 할 수 있는 다실이 포함되어 4개실로 구성되어 있다. 평이라는 단위면적 용어는 앞으로는 쓰면 안 된다. 도량형 국가표준으로 제곱미터를 쓰도록 되어 있다. 30평이니깐 99.174m2로 바닥면적을 표기해야 한다. 언 듯 들었는데 앞으로 정육점에서 한 근 이라고 표현 하는 것도 안 된다. 어쨌든지 30평짜리 전원주택을 짓는 일이다. 여러 가지 방안이 나왔지만 그래도 중부지역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조상들이 살아오면서 검증된 전통건축인 중부지방의 농가주택에서 평면과 공간구성을 따왔다. 겨울에는 매섭게 춥고 여름에는 뙤약볕에 비가 많이 내리고 봄볕은 따갑고 가을 하늘은 청명하지만 아침저녁으로 기온의 변화가 심하다. 그 모든 것을 감안한 집이 학강산 중턱에 들어서는 학운산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단 다용도실과 보일러실 그리고 화장실은 한쪽으로 몰았다. 화장실은 필히 벽체와 붙어서 창문을 내어야 한다. 안 그러면 환기가 잘 안 되서 냄새가 심하게 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사랑방 출입문을 화장실 쪽으로 몰아서 배치하였다. 화장실이 너무 길쭉해도 이상하고 사랑방과 현관의 특성상 보이지 않는 구조가 좋기 때문이다. 다용도실은 3미터 길이에서 2미터 정도를 차지해도 상관없다. 그 곳은 세탁기를 위한 장소이다. 나머지 장소에는 선반을 설치해서 부엌창고와 세간 살이 창고로 사용하면 안성맞춤이다. 나머지 1평쯤 되는 공간이 보일러실이다. 30평대의 온수겸용 보일러가 충분히 들어설 자리는 확보된다. 보일러가동 소음을 이유로 그냥 별 생각 없이 보일러실은 필요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가끔 있다. 하지만 보일러라고 추위에 용가리통뼈가 아니다. 사람이 추우면 보일러도 춥다. 그래서 당연히 집 안쪽으로 대부분 보일러실을 마련한다. 설령 밖으로 뺀다 그래도 벽체에다 이어붙인 보일러 집은 필요하다. 그런 집이 얼마나 보기 싫은지는 생각도 안하고 겨울에 보일러 동파를 염려하면서도 아무생각 없이 보일러실은 실내에 있을 필요가 없고 밖으로 설치하면 된다고 한다. 이해가 안가지만 뭔 소리인지는 유추해석 가능하기에 그런 소리하면 그냥 조용히 입다물고 있는게 상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랑방 자리에 주방을 만든다. 요즘 왠만한 남자들은 앞치마 걸치고 일하는 시간이 늘어난 주방에 좀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측면에서의 사랑방과 주방의 교환은 충분히 이해는 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주방이 전면에 나오는 건 여러모로 좋지 않다. 우선 주방은 무엇을 만드는 공간이다. 그래서 부엌일 열심히 하다보면 어지럽기 마련이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주방은 남향에 자리 잡지 않는다. 중부 지역의 모든 전통농가나 민가는 모두 북향이나 동향이다. 아침에 밥할 때 동쪽에서 해 뜨면 밝고 따뜻해서 일하기 좋고, 또 커피나 차를 거실에서 마신다고 하지만 보통은 컵 들고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공간에서 모여서 마신다. 주방에서 일끝내고 혼자 마시면 몰라도 공동의 커뮤니티를 주방으로 설정하는 것은 학운산방에서는 그리 좋은 선택은 아니다. 어차피 학운산방의  가장 중요한 집짓기 설계개념은 대청마루에서 일어나는 소통과 사색이다. 또한 아파트 던지 주택이던지 간에 주방에서의 총 소비시간은 생각보다 짧다. 간단하게 각자의 집에서 하루 동안의 주방에 있는 시간을 측정해 보면 쉽게 답이 나온다. 그렇다고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일부러 주방에서 별다른일 없이 죽치고 앉아 있으면 반칙패가 된다. *__*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충 이정도 하며 될것 같다. 나름대로 여러 가지 방안을 생각해 보았지만 학운산방을 바라보는 객관적 시각에서는 모두 현재의 학운산방 평면과 공간구성을 한 표를 던져 줄 것 같다. 틀림없는 사실이다. 사람들이 살아온 삶의 방식과 경험은 건축이던 농사일이건 간에 소리 없이 축적되어 후손에게 이어진다. 그런 사실에 충실한 가슴으로 학운산방 집짓기 프로젝트에 임했다. 또 한 가지 다실(대청방) 위로 1미터쯤  이어진 마루를 통하여 작은방으로 들어가는 공간을 구성해 보았다. 문과 문은 기본적으로 마주보거나 이어지면 공간의 독립성을 해친다. 그래서  예로부터 사돈집과 화장실은 멀리 있을수록 좋다는 삶의 지혜를 학운산방 공간에도 이어받아 안방과 작은방의 출입문도 멀찌감치 떼어 놓았다. ^^ 밋밋한 것 보단 그래도 작은방을 차지한 사람에게는 공간감을 충분히 느끼며 자기 방으로 들어가는 재미도 있을 성 싶다.  기타 별다르게 변 한건 없다. 다용도실 옆에 북쪽으로 이어진 벽체는 1미터 남짓한 냉장고를 놓기 위한 자리이다. 싱크대는 동향으로 설치해도 좋고, 원하면 북향도 괜찮다. 그리고 뭐 꼬투리 잡힐 거 없나 생각해 보니 별다르게 튀어나와 정 맞을 일은 없을 듯하다. *_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방의 크기는 벽체를 구성할 때 눈으로 보면서 느낌으로 크기를 정하고 위치를 결정  하는 게 가장 좋다. 그런 것들은 충분히 가변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제한된 공간에서 안성맞춤으로 정하는 그 눈 맛은 어떤 과학적 근거로도 측정 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멍구가 밥먹으라고 그런다. 밥먹기 전에 블로그란 놈에게 포스팅하고 내려가야 겠다. ^__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아랫마을 비닐하우스 자리에 건축예정인 소구리 하우스 A형 조감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솔고개 마을 솔농원 사람들 전원주택 건축 예정지

솔농원 형제들이 본격적으로 고향마을 적성면 일대에 제2의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제일 먼저 막내 옥이가 본가에서 10여Km 떨어진 면소재지인 하리마을에 하리하우스를 2006년 12월에 마련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 셋째형인  훈형이 학강산 하우스를 3월 안에 착공하여 12월 이전에 입주를 할 것 같습니다. 그러고 보니 국형과 나는 계획만 앞서 세워 놓았지 주택건축은 제일 늦은 것 같기도 합니다. 쿠쿠~ 한 마디로 김칫국부터 마셨다고 밖에 할 말이 따로 없게 생겼습니다. *_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앞으로 매형과 고모부님은 어떻게 하실지 모르겠지만, 매형도 솔고개 마을에 은퇴 후에 제2의 삶을 살아갈 전원주택을 솔고개 마을에 짓고 살게 되겠지요. 소구리 하우스는 메인 하우스는 시간이 좀 더 흘러야겠기에, 우선 외할머니 집터 자리에 A,B타입으로 구상은 끝냈는데 국형이 먼저 집을 지을 것 같습니다. 소구리 하우스도 여건이 마련되는 대로 후딱 지어서 소구리를 아끼고 사랑하는 좋은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날들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30평 정도로 아주 검소, 심플, 청빈낙도(淸貧樂道)의 모범으로 우선 소구리 하우스를 짓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 며칠은 전원주택 이야기로 소구리 하우스가 운영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원래 이런 이야기들이 주가 되어야 하지만 이 사이트의 목적 중에 “소구리문화지도” 인터넷 홍보 마케팅에 이용되는 관계로 주제가 여러 가지로 짬뽕이 되어 버린 면도 있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생겨 난지 얼마 안 되는 블로그인 소구리하우스에 그래도 많은 네티즌이 찾아 오는 것은 애드센스이야기와 인터넷 마케팅 그리고 주로 인터넷과 관련된 이슈들 때문에 들어오는 방문자들입니다. 솔직히 어쨌든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야 하기에 사람들이 찾을 만한 이슈로 게시물을 만들어 올린 것도 사실입니다.*__* 그래도 모두 건전한 이야기와 나름대로 쓸만한 정보들을 올렸기에 뭐 미안하거나 그러진 안습니다. *__^

소구리 하우스에서 진^^

전원주택시공 건축다큐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