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학강산 학운산방 현장감독과 포크레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학강산 밭으로 가는 농로를 보수하는 굴삭기

2007년 2월 24일 한 동안 사람의 통행이 불가능 할 정도로 가시덤불과 잡풀로 우거졌던 학강산 밭 농로를 굴삭기로 보수하고 있습니다. 그 도로를 보수하는 포크레인을 바랍 보면서  만은 생각들이 떠올랐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4년 전 눈발이 휘날리는 학강산 농로를 만들던 때가 떠오릅니다. 온 식구들이 총 출동하여 삽과 곡괭이로 그 길을 경운기가 올라갈 정도로 넓히는 농로개설 작업입니다. 그 때 고란에 큰 아제도 와서 힘을 보탰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참 대단한 의지의 한국인 솔농원 사람들이야 그런 생각이 듭니다. 앞재넘어 밭으로 가는 농로도 삽과 곡괭이로 뚫었던 기억이 새삼스럽게 떠오릅니다. 그 작업에 모두 참여했던 나의 모습이 지금은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추억으로만 기억되니 물처럼 바람처럼 세월은 그렇게 흘러갔나 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학강산 밭 앞재 넘어 밭 잔등 넘어 밭.... 모두 경운기 몰고 담배 실어 날랐던 정들었던 영농의 현장이었습니다. 경운기 다음에는 농촌형 다목적 1톤 화물차인 세레스(Ceres)로 그 길을 꽤 오랜시간 동안 함께 했습니다. 겨울철에 훈형과 6마력짜리 경운기 운전하며 학강산 삼판 때 모아 두었던 잡목을 눈길을 헤치며 올라가서 실어 날랐던 기억들도 떠오르고, 잔등 넘어 밭에서 아랫마을 아저씨네 고추포대를 경운기로 싣고 내려오다가 자칫하면 죽을 뻔한 위기를 넘겼던 순간은 지금도 가끔씩 생각나고 꿈에서도 나타나 식은땀을 흘리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 때 경운기 뒷 브레이크가 시원치 않아서 비탈길 탄력을 브레이크가 이겨내지 못해서 생긴 사고입니다. 그 위기의 순간에 그래도 클러치 잡고 남의 묘 등에 간신히 멈춰 서게 한 순간들이 지금도 또렷하게 기억되고 있습니다. 그 묘 등을 넘으면 50여 미터 급경사면이 나타납니다. 그 때 경운기랑 함께 굴렀다면 지금 이러고 있지도 못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오랜 세월이 지나도 그 찰나의 악몽이 아주 가끔씩 나타나서 식은땀을 선물도 하지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기도 합니다. 그래도 경운기와 세레스로 담배와 농산물 운반에서 큰 사고 없이 단양 땅을 누볐던 베테랑 영농기계 기사이기도 합니다. 쿠쿠~ 트랙터로 비탈면 갈 때도 넘어질 것 같아서 등골이 오싹 할 때도 있기도 합니다. 실지 트랙터가 논둑에서 떨어지거나 경사지 로터리나 쟁기 작업시 굴러서 죽는 농부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만큼 산촌의 영농은 때로는 목숨을 걸고 작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해 주었으면 합니다. 

2007년 2월 24일 학강산 농로 재작업은 학강산 밭 자락에 학운산방이 건축으로 진입로 및 공사용 자동차 통행을 위하여 재공사 하고 있습니다. 학강산 밭은 벌써 여러해 전 부터 묵밭으로 칡덩굴이 무성한 산으로 변한 밭이기도 합니다. 그 곳에 솔농원 둘째 아들 훈형이 학운산방을 만들어 당분간 주말농장으로 사용하다가 은퇴 후 귀거래사로 만날 것 같기도 합니다.

추억을 위하여... 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솔고개마을 학강산(鶴降山)에 자리잡을 고운이네 학운산방 공간배치와 건물구조에 대한 건축설계 시안이다. 며칠사이에 학운산방 주인장의 집짓기에 대한 생각이 참 많이도 변했다. 누구나 다 그런 과정을 겪지만 집에 대한 생각의 중심축이 이동된 상태이니 더 이상 말해 무엇 하리오. 그러고 있다가 작지만 학운산방의 주인장이 살아왔던 중부지역 전통가옥의 특성도 가미하고 현대적 삶에 적응된 현실적인 측면도 고려하여 만들어낸 30평짜리 학운산방이다. 건물형태는 변하지 않지만 B와 1은 교환이 가능하고 1과 2사이에 화장실을 배치하고 1번을 방으로 만들면 방세개도 가능한 구조이고 가장 큰 특징은 북쪽과 남쪽이 트인 대청마루와 툇마루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학운산방(鶴雲山房 )의 또 다른 개념상의 특징은 시골집이던 아파트이건 간에 집을 설계하면 현관문을 꼭 만든다.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현시대의 집짓기 개념은 생활의 패턴을 반영한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기에 나쁘다 좋다 이분법으로 재단 할 수 는 없다. 하지만 시골에 넓은 공간과 자연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면서 꼭 현관문을 닫아야 안심 할 수 있다는 마음속의 짐을 접어두면 굳이 현관문을 따로 만들 필요는 없을성싶다. 그래서 과감하게 현관을 없애고 마당에 접어들어 툇마루를 오르고 각자 필요한 공간으로 찾아 들어가면 되게끔 집의 형태와 공간을 분할하였다. 신발이야 툇마루 밑에 집어넣던지 아니면 따로 마루 한쪽 구석에 신발장을 만들면 되지만 봉당위에 신발 벗어놓고 마루에 올라서며 살았던 시절에도 별 불편이 없었으니 옛 것을 취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 된다.

그리고 전원생활에서 헛간은 꼭 필요하다. 학운산방(鶴雲山房 )에선 장독대 옆에 별도로 주차장과 함께 딸린 간단한 창고건물 형태로 짓는 게 좋을 듯하다. 금수산(錦繡山)과 소백산(小白山) 일대의 전망은 툇마루에 앉아서 감상하던지 안방 창문으로 바라 볼 수 있지만 꼭 사방이 다 보여야만 훌륭한 전망은 아닐 듯싶다. 툇마루에 앉아서 안 보이는 전망은 두 발짝 걸어 나가서 감상하는 것이 사방을 유리상자로 만들어서 바라보는 전망보다는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얻으면 그로 인해 반드시 잃어버리는 것도 있다는 평범한 삶의 지혜를 이럴 때 한번 써먹는 중용의 가슴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 된다.  현재로선 큰 돈 안들이고 수백 년간 이 땅의 자연과 사람들 속에서 살아온 선조들의 지혜가 깃든 삶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안성마춤 학운산방이 아닐까 생각 된다. ^^ 에궁~ 그만하고 자야겠다. 학운산방 주인장의 생각을 모두 융합하여 만들어낸 집이니 짓던지 말 던지는 주인장의 취향과 안목에 맡기는 수밖에 없지 않는가?

소구리하우스에서 진^^

전원주택시공 건축다큐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