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의 어머니 5



마흔 대여섯의 어머니가 걸어오십니다.

하늘 주름치마에 하얀 블라우스

단아한 어머니가

대여섯 시절의 기다림 속으로

걸어오십니다.




쉰 중반의 어머니가

서성입니다.

가시처럼 뾰족한 수험생 딸에게

커피 한 잔 주시고는

돌아서 나가 밤을 서성입니다.




-여기서부터 저어기 까지 한 10년

공백기입니다.

그 때 저는 스무 살 시절을 보냈으니까요.


예순 훌쩍 넘은 어머니가

낯선 시외버스 정류장을 걸어 나오십니다.

딸네 집에 오시면서

익모초 고은 약을  한 보따리 들고 오십니다.

쓴 약만 자꾸 먹으라니 안됐다 하시면서

안타까운 대문소리 남기고 가셨습니다.




일흔 넘긴 어머니가

휘여휘여 걸어오십니다.

외갓집 와서 아프면 큰일이라고

눈 가득한 텃밭을 뒤져 파뿌리 한 움큼 캐다 주시고는

도 한데로 나가십니다.




그리고 몇 년

어머니는 완연한 할머니가 되어

자리에 누워 딸을 맞습니다.

손끝이며 발끝이며 싸늘한 모습으로

얼굴이며 손등이며 조글조글한 모습으로

오로지 

가슴 속에 난 길만 걸어오십니다.




걸어도 걸어도 줄지 않는

추억속의 길만 걸으며

사랑하는 어머님이 다가오십니다.




2008. 9. 5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의 어머니 6




나의 어머니는

지지리 복도 없으십니다.

꼼짝도 못하고 누워서도

할 일을 머릿속에 줄을 세워놓고 계십니다.




나의 어머니는

지지리 복도 없으십니다.

여든 가까운 삭아빠진 가슴에

오십 넘은 산더미 같은 아들을 묻고 사시니

그렇게 불쌍할 수가 없습니다.




나의 어머니는

정말 지지리 복도 없으십니다.

금이야 옥이야 딸을 키웠어도

딸네 집에서 하루를 다리 뻗고 못 주무셨습니다.




늙으면서 어떨 땐 오판도 하시고

늙으면서 육신은 더 작게 삭으러 드시지만

어머님만큼 훌륭한 어머니를

나는 아직 만나지 못했습니다.

당신을 진실로 자랑스러워하는

자식들을 두셨음이

지지리 복도 없는 어머니의

유일한  복입니다.




2008.9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의 어머니 7




내 전생에 무슨 복을 지었기에

당신을 만났을까요.




봄에 고들삐  씨앗 한 움큼 뿌렸다가

가을에 한 아름 나물 안겨 주시는 당신을

내 복에 어떻게 만났을까요.




전생에 내 얼마나 소중한 빛이었기에

당신을 만났을까요.




밝음에 밝음을 더하여 만나는 순간에

空에 空을 더하여 色이 되는 찰나에

내 얼마나 황홀한 빛이었으면

당신 품에 맺혔을까요.




전생에 나는 넘치는 복덩이였고

전생에 나는 찰랑이는 빛덩이였음을

당신과의 인연을 거슬러 올라가 확인합니다.

나의 소중함을 일깨워주시는 인연

‘어머니’

당신이 주신 소중한 자리

아름다이 지켜내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어머니와의 인연이 소중하기에

아름답게 살아야 할 딸이

어머니를 기리며 씁니다.




2008. 10. 13


2008년 솔농원 막내딸 옥이 시(詩)
앞에서 두번째 솔고개 뒷동산 국형 소나무

                     [사진]앞에서 두번째 솔고개 뒷동산 작은형 소나무 - 1000x602


그대 넋이여 있으소서


그대 넋이여 있으소서


흩어지지도 말고,

스며들지도 말고,

애초 없었다하며 이 그리움 배반하지도 말고,


그대 넋이여 있으소서.


화목했던 웃음에도,

상처 주던 눈흘김에도,

픽석픽석 농담 쏟아내던 그대 음성에도

實存했던 그대 넋이여!


문둥이처럼 참꽃에 숨지도 마시고,

칡넝쿨 엮어 바위 타던

고집 센 소년으로 환생도 마시고,

비로도, 바람으로도, 눈보라 속으로도 스며들지 마시고


오직 본래의 그대 넋으로 實在하여

농후한 석류 속처럼

흥건히 머무소서.

내 속에......


2008. 8. 31



그리움


뭐 똥을 싸게 잘해 주었던 것도 아니예요.


뭐 대단한 꺼리가 있는 것도 아니구요.


그냥 대구 생각이 날 뿐이죠.


그립다고 뭐 똥을 싸게 죽고 못 사는 것도 아니예요.


그립다고 뭐 숨 안 쉬고 사는 것도 아니구요.


그냥 두서도 없이 때도 없이 왈칵 올라올 뿐이죠.

무턱대고 떠오르는 그대 이름으로

뜬금없이 나타나는 그대 얼굴로

예기치 않는 곳의 그대 흔적으로


안타까움이 그리움을 부르고

그리움이 애절함을 부르고

애절함이 절망을 부를지라도


내일에 다시 찾아 올 그리움을 위하여

어쩌면 오늘을 견딥니다.

그림움은

그대를

만나는

방법입니다.



2008. 9. 5



이 찬란한 세상을......


보드랍게 늦여름 비가 내리고

짝을 부르는 날갯짓

삐뚜룩 뀌뚜룩 하는 밤.


기약 없이 사는 사람 맘에도

세상은 속절없이 아름답기만 한데

10년이고 5년이고 5개월이고

기약하고 사는 사람 마음에는

얼마나 환장하게 아름다웠을까.


콩은 바싹 여물러 깎지 안에서 딸랑이고

옷깃만 스쳐도 차르르 샤르르 알을 떨구는

들깨향기 온 밭에 진동하는 늦가을.

허여사라 부르던 애닯은 아내와

이눔새끼라 부르던 속 아린 아들을 동행하여

고향집 뒷목재 솔밭에 올라

“이 소나무가 내 소나무여.

잘 바 둬. 꼭 이 소나무여.“

거듭날 소나무 정해주던

쉰 셋의 삶이여.


九折羊腸 굽이굽이 애타는 사연을

초겨울 불길 속에 같이 사르고

소나무로 살아난 사람이여.


그 소나무 숲길에도

이 소리 들리려나.

환장하게 아름다운

이 가을 노래가.



     솔 같은 사람

     솔하우스 주인장을 그리워하며


2008.8.31



바람 붑니다.


바람 붑니다.

비올 바람 붑니다.

날라는 어띠 살라하고

비올 바람 부나요.


바람 붑니다.

비올 바람 붑니다.

자식을 가슴에 묻은

내 앙상한 어머니는 어띠 살라하고

비올 바람 부나요.


바람 붑니다.

비올 바람 붑니다.

남편을 인생에 묻은

내 젊은 형님을 어띠 살라하고

비올 바람 부나요.


바람 붑니다

비올 바람 붑니다.

아버지를 추억에 묻은

내 어린 조카들은 어띠 살라하고

비올 바람 부나요.


바람 붑니다.

비올 바람 붑니다.

얼기설기 얽힌 핏줄의 인연을

얼기설기 자란 소나무 뿌리에 묻고 돌아선

우리는 어띠 살라하고

비올 바람 부나요.


바람 붑니다.

비올 바람 붑니다.

崔炳國松마져 흐느껴 울면 어찌하라고

비올 바람 부나요.


말려도

끝내

축축한

바람

붑니다.



2008.8.13


2008년 솔농원 막내딸 옥이 詩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눈길에 미끄러저 90도 돌아앉은 훈형 윈스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눈길에 미끄러저 90도 돌아누운 훈형 윈스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눈길에 미끄러저 90도 돌아앉은 훈형 윈스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눈길에 미끄러저 90도 돌아앉은 훈형 윈스톰^^


학운산방 가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