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솔농원 본채 현관 옆에 게양된 태극기


솔농원에는 일 년365일 태극기가 휘날리고 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어머님이 만들어 놓으신 국기게양대가 솔농원에는 있다. 나의 기억으로는 2003년쯤에 어머님의 태극기가 휘날린 것 같다. 그 동안 낡은 태극기를 새것으로 교체한 것이 두 번째인지 세 번째인지 잘 모르겠지만 어머님의 태극기는 언제나 그 자리에서 봄여름가을겨울 바람을 맞으며 휘날리고 있다. 태극기와 사람과 연관되어 언뜻 떠오르는 사람은 사심 없이 조국을 위해 목숨 바친 윤봉길의사와 안중근의사 그리고 백범 김구선생님이 떠오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태극기와 연관되어 떠오르는 이미지는 어머님의 태극기이다. 국기봉의 모양도 그동안 여러번 바뀐 것 같다. 국기봉과 국기대와 마주치는 곳에 어머님이 천으로 만드신 꽃모양이 국기봉을 감싸고 있다. 그 것은 어머님이 생각하는 무궁화 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렇다고 어머님이 게양하는 태극기가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는다. 그저 어머님의 마음이 태극기를 저기에 저렇게 있으면 하는 가슴이 만들어 놓은 일상일 뿐이다.  


대한민국의 국경일에 나오는 단골 메뉴가 있다. 우선 아파트단지를 넓게 찍는다. 수많은 베란다에 달랑하나 게양된 태극기를 클로즈업 한다. 그리고 아나운서나 기자의 멘트가 이어진다. 국경일에 태극기를 다는 집이 줄어들고 있다. 고급아파트보단 서민아파트가 그래도 국기 게양 율이 높다고 이야기할 때도 있고 대체로 부정적인 화면으로 써먹을 때가 많이 있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국기게양에 대한 시각을 보도하는 신문방송의 보도 내용과 태도는 똑같다. 앞으로 당분간은 그렇게 될 것 같다는 느낌이 지금 이 순간에도 강하게 든다. 근데, 왜 그렇게 생각하나? 의문을 가진 사람들도 많이 있을 것 같다. 아파트단지에는 보통 관리사무소에 게양된 태극기가 그 아파트를 대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 하나의 태극기로 충분하지 않나 생각된다. 모두가 하나도 빠짐없이 국경일에 국기를 달아야 한다는 그 발상 자체가 억압이고 획일화된 가슴을 만들고 싶어 하는 통제의 수단으로 살아온 지나온 세월에 대한 가위눌림이 아니기를 바랄 뿐이다. 태극기를 베란다에 다는 사람도 있고 안다는 사람도 있고, 주택의 현관 앞에 다는 사람도 있고 안다는 사람도 있다. 그 누가 애국인지 판가름하는 식의 국기달기에 대한 무지막지한 편견을 이제는 버리고 좀 더 자유롭고 폭넓은 인식으로 태극기와 국가와 나를 생각해도 될 만한 시대에 우리들은 살고 있다고 생각해도 이제는 누가 아무도 뭐라고 그러지 않는다. 국경일에 휘날리는 태극기게양에 대해서도 이제는 매너리즘에서 벗어나 좀 다른 시각으로 좀 더 멋진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친구들이 많아 졌으며 좋겠다.


소구리하우스에서 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폐교된 충북 단양군 적성면 하리 적성초등학교 전경

농촌에 작은 학교들이 하나둘씩 폐교되어 갑니다. 결혼도 늦게 하고, 아이도 적게 낳고, 농사짓는 젊은 피도 부족하고, 그런저런 이유로 인해 농촌과 어촌의 작은 학교들이 2007년도에도 꽤 많은 추억이 깃든 초등학교들이 문을 닫아야 한다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어쩌면 이것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선택의 결과일지 모르기에 담담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음을 이야기 합니다.

그래도 또 다른 의미의 삶이 치열하게 폐교된 교정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리마을에 있는 적성초등학교도 그 중에 한곳입니다. 아직은 실질적으로 인터넷 정보통신 인프라에선 지구촌의 절대강자로 군림하는 대한민국 정보통신 문화의 현주소를 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이 들려주고 있습니다.

사진에 나오는 폐교된 적성초등학교는 현재 인터넷에서 중고서적을 유통시키는 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오늘은 폐교된 학교 2층에 있는 소구리연구소를 오랜만에 다녀왔습니다. 아직은 추어서 소구리 하리 연구소에서 대한민국 디지털문화 인프라구축작업을 할 수 없지만 곧 날이 따뜻해지면 소구리 메인작업장으로 돌아갑니다.


소구리 하우스에서 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 서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에서 인터넷 때문에 좋아진 비즈니스가 뭐예요?” 누가 이렇게 묻는다면 당연히 전자상거래를 떠올린다. 그 수많은 전자상거래 중에서 대표적인 성공사례가 온라인 서점이다. 미국의 아마존이 21세기 서적 유통의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면 한국에서는 인터넷 온라인 서점이 서적유통의 체계를 변화시켰고, 그 중에서도 청계천으로 대표되는 헌책방의 온라인화가  중고서적 유통의 새로운 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 중고서적을 업으로 삼는 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 이금석 대표와 만난 지도 벌써 3년여의 세월이 흘렀다. 2004년 7월에 소구리문화지도 연구소를 새한서점이 자리하고 있는 폐교된 적성초등학교 2층에 마련한 인연으로 헌책과 반평생을 보낸 이금석대표를 만났다. 그 당시 학교 교실에 서울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하였던 송판을 뜯어와 다시 책장을 짜고 있을 때였다. 그 많은 송판을 이금석대표 혼자 자르고 망치질 할 때 정리되지 않은 풍경이 을씨년스럽기도 하였지만 복도에 가득한  수많은 책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정겹고 포근하기 그지없었다.  그 후 수많은 시간을 헌책과 씨름하는 이금석대표의 고군분투를 지켜보며 책을 업으로 사는 이 땅의 장인과 함께한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떠오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 헌책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오프라인과 마찬가지로 상품진열이다.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에서 디지털화되어 진열된 헌책을 손으로 만질 수는 없지만 다양한 정보를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 오프라인 서점에서 불가능한 다양한 마케팅기법들이 있다.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다양한 주제별 카테고리를 만들어 책을 진열하고, 검색으로 손쉽게 진열된 책을 판매할 수 있으니 목록의 데이터베이스 작업은 인터넷 헌책방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작업이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 목록 작업을 혼자서 많은 양의 작업을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이금석대표는 꾸준하게 작업을 진행시켜왔다. 그 보람이 3년여의 세월이 흐른 현재 나타나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수많은 인터넷 중고서적 유통 사이트가 생겨나고 소멸해 가겠지만 반평생 이어온 오프라인의 헌책방 경영 노하우와 인터넷 마케팅을 적절하게 진행한다면 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은 이 땅에서 사라져가는 서적을 보존하며 헌책의 사명을 다하게 만드는 중고도서 유통의 메카로 헌책을 사랑하는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헌책에 대한 오랜 경륜과 노하우가 축적된 이금석대표가 끌고 가는 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은 지금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중고서적 유통의 새로운 강자를 꿈꾸고 있다. 시간이 흘러 또 다른 모습으로 우뚝 솟은 인터넷 헌책방 새한서점을 떠올리며 즐거운 미소를 헌책을 좋아하는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오늘처럼...

헌책방 이야기 홈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