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리 하우스 요리 교실



하리 하우스(Hari House) 요리교실에서는 우리 땅에 자라는 나물에 대한 이야기와 요리를 알려주는 음식이야기이다. 우리 나라는 1960년대 초반 까지만 하더라도 식량이 모자라서 초근목피로 연명하던 서민들이 많이 있었다. 도시의 극빈층과 마찬가지로 농촌에서도 먹을 것이 없어서 마을 텃밭이나 야산에 가서 계절별로 먹거리를 찾아 다니는 것이 어머니들의 중요한 일과 였다. 자연의 산물인 나물들도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해서 치열한 나물 쟁탈전이 마을마다 일어 났다. 그래서 일찍 일어나는 새가 배부르다는 말도 전해 내려온것 같다.

요즘은 배고파서가 아니라 자연식품 바람, 미디어에서 떠들어 대는 웰빙바람이 불어서 두메산골 오지에도 봄이면 나물 찾아 몰려드는 도시민들이 많이 있다. 전문적으로 나물을 췌치하는 사람들은 봉고차에 일꾼들 실고와서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자라는 봄나물을 싹쓸이 하는 것을 시골에 살다보면 가끔씩 목격 한다. 그 모습을 바라보면서 저건 좀 자연한테 미안한거 아냐... 그런 생각이 들었다. 뭐든지 도가 지나치면 탈이 난다. 적당한 봄나물은 몸에 좋치만 과하게 먹어치운 봄나물은 틀림없이 자연의 반격이 시작 될것 같다. 이것도 따지고 보면 염치를 아는 사람이 되자의 범주에 포함되는 상황이다.

하리하우스는 소구리 하우스와 이웃 사촌인 홈페이지이다. 그래서 서로 협력하며 윈윈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여동생 옥이가 운영하는 사이트 이다. 그 사이트에 있는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소구리 문화지도에서 서비스하고 하리 하우스로 일부 콘텐츠는 넘겨주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같은 콘텐츠라도 블로그에서 보여주는 거랑 정통 웹페이지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은 그 느낌에 많은 차이가 있다. 마치 소설을 영화로 보는 것과 책으로 보는 것의 차이처럼 똑 같은 모니터로 봐도 그 느낌은 다르다. 적어도 옥이가 들려주는 하리 하우스 요리 이야기는 진정성 측면에선 아주 멋진 콘텐츠이다. 적어도 좋은 정보를 구성하고 글로 표현하고 공유하는 면에 있어서 여동생 옥이는 프로다. 프로가 이야기 하는 하리 하우스 요리 이야기는 찾아가서 읽으면 여러가지로 득이되어 인터넷 정보의 참 가치를 알 수 있으리라 생각 한다.

하리 하우스 옥이랑 함께하는 음식 이야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 2002년 국기원 태권도 승단 심사장에서 고운이와 셋째 형수님

우리 고유의 전통무술을 계승 발전시킨 태권도는 올림픽 경기 종목에 들어간 세계적인 스포츠로 성장했다. 그 덕분에 아세안 게임이나 올림픽에서 국위선양 하는데 일등공신이자 대한민국 에서는 국민스포츠이자 국기로 대접받고 있다. 그 태권도 유단자가 솔농원 사람들 중에서는 고운이가 제일 고수이다. 솔직히 2단인지 3단인지 잘 기억이 나지 않치만 1단이 넘는 것은 분명하다. 고운이가 태권도 검은 띠 몇 단인지 아는 사람은 댓글로 알려주면 좋겠죠?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국기원은 태권도 종주국의 메카로 알려진 체육관인데 건축 자체는 전통건축 양식으로 짓는 다는 발상으로 건축했는데 솔직히 건축미는 썰렁하고 무국적 건축양식이다. 그 국기원에서 태권도 승단 심사를 받는 모양이다. 승단 심사를 받기전에 고운이랑 청운이 엄마랑 기념으로 한 컷을 고운아빠 훈형이 찍은 것 같다. 고운아빠는 사진촬영이 취미라서 그런지 솔직히 작품의 기복은 있지만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본은 있다. 이 사진도 트리밍을 한 사진이다. 그 정도면 소구리 문화지도에서도 충분히 활약 할수 있는 소구리 리포터 이다. 앞으로 어디 좋은데 가서 식구만 찍지말고 자료사진도 많이 찍어서 소구리로 보내주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생각 된다. *__*


국기원이 있는 서울시 강남구 이야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2002년 8월 13일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 - 국보 18호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현존하는 목조 건물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역사적으로는 안동 봉정사의 극락전이 최고지만 건물 규모나 구조 방식, 법식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 이 건물을 따를 수 없다. 그래서 고대 불전 형식과 구조를 연구하는데 기준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무량수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인데 평면의 경우 건물 내부의 고주 사이에 형성된 내진 사방에 한 칸의 외진을 두른 형식을 취했다. 기둥 사이의 주칸 거리가 크고 기둥 높이도 높아 건물이 당당하고 안정감 있게 지어졌다. 지붕은 팔작 형식인데 지붕의 물매는 후대 건물에 비하여 완만하다. 예로부터 건물의 구조는 단면에 위치한 도리의 수를 셈하여 말하는데 이 건물은 소위 9량집으로 외목을 제외한 도리가 9개나 되는 큰 건물이다.

부석사 좀더 자세히 알기...